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7)
만족이란? 본인 인생에 만족하면서 행복하게 사는 사람들은 얼마나 될까? 전세계 77억 인구중 절반?, 25%?, 10%?, 아니 1%가 될까? 가늠이 안된다. 너무나도 치열하게 살고 힘들어 하는 주위 사람들 그리고 사회에 있는 사람들을 볼때면 1%가 과연될까? 우리나라는 살기좋은편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무한 경쟁, 주위 사람과의 비교, 상대적 박탈감 그리고 높은 자살율등 안좋은 면이 분명 있지만 높은 수준과 낮은 문턱의 의료서비스, 안정된 치안, 최소한의 의식주 보장 등 사람이 생활하는데 안정적 사회망은 갖추어져 있는듯 하다. 물론 살인적인 서울집값을 보면 서울에 사는 사람에게 의식주가 보장이 된게 아니냐고 반문할수 있다. 나도 서울에 집이 없는 대한민국 국민중 한사람으로 분명 아쉬운 부분이긴하다. 그렇다고 생활 ..
코로나가 바꾸어놓은 내 일상 중국의 우한폐렴이라는 이름으로 코로나19가 사람들의 관심이 알려지기 시작했던때가 1월쯤 이였던가? 정확한 시기도 기억도 안날정도로 그당시에는 관심도 없었다. 그냥 단순한 감기라 생각했었고 금방 지나갈꺼라 생각했었다. 하지만 불과 한두달만에 중국에서만 발생하던 코로나가 우리나라에서도 그리고 전세계적으로 발생하더라. 사망자수도 늘어나고 확진자 수도 늘어나고 고령이 아닌데도 사망자가 생기고 있었다. 최근 내과 의사선생님까지 코로나 확진후 심근경색등으로 사망하셨다는 뉴스까지 나왔다. 전해들은지라 사실확인은 어렵지만 사망하신 내과 선생님이 감염내과 분과 전문의 출신으로 개원하신 원장님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모든과 선생님들이 전문성과 지식과 지혜를 가늠하기 어려울정도로 훌륭하신분들인데 그중에서도 내과선생님의 경우..
오래간만에 고등학교 친구를 만났다. 공기업 다니는 고등학교 친구를 오늘 밤 10시쯤 만났다. 친구가 송도에 살고있는지라 차 안막힐 밤정도에 간다고 말하고 도착하니 밤 10시가 됐다. 도착했다고 전화를 하니 평소 만나면 가던 커피숍에 있다고해서 그쪽으로 가봤다. 요새 정말 코로나로 사회적 거리를 두는 기간이 맞나할정도로 사람이 많다. 대략 4/5정도 좌석이 차있는듯했다. 친구한테 우리 나가서 편의점 의자에서 이야기하자고하고 근처 편의점으로 자리를 옮겼다. 날씨는 꽤나 썰렁했고 나는 그래도 패딩을 입고있었다. 친구는 얇게 입어서 내 차에 패딩이 하나더 있으니 가져다줄까하고 물어봤는데 괜찮다고 하여 조금 추운 자리에서 이야기를 나누기 시작했다. 이 친구는 항상 즐겁고 행복한 친구이다. 타고난 천성이 정말 좋다. 본인은 물론 주위 사람까지 기분 ..
자살, 내가 알고 만나보기도 했던 형 지금은 거의 인간관계가 단절되다 싶었지만 어렸을때 친구가 꽤 많았던듯싶다. 그 중 세명은 정말 친하다고 생각했다. 요새 이런저런 사정으로 친하다고 생각하는 친구들과도 만남은 물론 연락도 오랫동안 하지 못했다. 두달 전쯤 친한 친구한테서 카톡이 왔다 잘지내냐고 내가 그때 그냥 적당히 대답하고 대화는 흐지부지 끝나게 됐다. 오늘 그 친구랑 오래간만에 만났다. 만나서 이런저런 이야기하다 내가 잘지내냐고 물어봤고 친구왈 '일이 좀 있었다. 큰형이 얼마전에 죽었다.' 내가 너무 놀래서 왜 돌아가신거냐고 물어봤고 친구는 경제적 이유때문에 목매달고 자살했다고 말해줬다. 예전에 나와도 몇번 얼굴보면서 이야기했던 형이였는데... 친구와 이런저런 이야기를 많이 했고 많은 생각을 들게했다. 집에 와서 곰곰이 생각을 해봤다...
블로그 시작 오늘 이런저런 생각을 하며 꾸준히 무엇인가를 시작해보자고 결심했다. 시작도 잘안하고 시작해도 금방 중단해버리는 나를 잘아는지라 핸드폰 메모장에 오늘 해야할일을 네가지 적고 꼭 실천해보기로 했다. 무엇을 적었는지도 벌써 기억이 가물가물해 핸드폰을 다시 보니 아 벌써 실패한것도 성공한것도 있다. 첫번째 30분 걷기 두번째 소식 그리고 건강식으로 먹기 세번째 글쓰기 첫번째는 좀 전에 성공했고 두번째는 이미 오늘 실패했다. 왜이리 식탐이 심한거고 지키기 어려운지.. 세번째 글쓰기는 지금 하고있으니 그래도 성공했다고 본다. 우선 나란 사람에 대해 생각을 해보았다.지혜로우신 부모님이 사랑으로 잘 키워주셔서 초중고 대학교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사회 구성원으로 역할을 하려고 노력하는 중인 41세 남자 장점은 어떤 급박한..